sungyup's.

Universal_Principles_of_UX / Consider / 1.8 매력적인 제품이 사용하기도 더 쉽다.

1.8매력적인 제품이 사용하기도 더 쉽다.

제품이 아름다울수록 사람들은 제품이 더 잘 작동한다고 생각하며, 제품에 보다 관대해진다.

TL;DR

인간-컴퓨터 상호작용(HCI, Human-Computer Interaction) 분야에서 수행된 연구에 따르면, 사람들은 인터페이스의 실제 사용성이 아닌 미적 요소에 따라 사용성을 판단하는 경향이 있다.

즉, 사람들은 아름다운 제품이 더 잘 작동한다고 믿는 편향이 있으며, 실제로 그렇지 않더라도 그렇게 믿는다. 또, 아름다운 제품이면 이후에 사용성 문제가 생겨도 보다 관대해진다. 이것을 미학-사용성 효과(Aesthetic-Usability Effect) 라고 부른다. 라이카(Leica) 카메라, 람보르기니 디아블로(Lamborghini Diablo), 필립 스탁(Philippe Starck)의 주스 착즙기 등은 사용하기 쉬운 제품은 아니지만 사람들은 제품들의 아름다움을 더 가치 있게 여기기 때문에 불편함을 감수한다.

물론 관대함에도 한계가 있다. 사용성을 무시한 채 아름다움에만 집중해서는 안될 것이다. 여기서 얻을 수 있는 교훈은 아름다움과 사용성 모두에 집중해야 한다는 것이다.

lemon squeezer
필립 스탁의 레몬 주스 착즙기. 기능적으로는 사실 형편없다고 하지만 아름다워서 용서 받는 제품이라고 한다.